굴착기(excavator) 종류 정리
굴착기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차량건설기계이다. 땅을 파거나 메우는 데 주로 쓰이는 장비이며, 사람처럼 팔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장비이기에 정말 많은 곳에 쓰인다.
굴착기가 정식명칭이며 굴삭기는 비표준어이다. 백호(backhoe)라고 많이 부르는데 정식용어는 아니지만 워낙 현장에서 백호라고 많이 부른다. (토목은 이런 현장용어와 표준용어의 차이가 많음. 많이 고쳐지고는 있으나 현장성이 강한 직무라 그런듯)
1. 주행방식에 따른 분류
휠(W) | 무한궤도(LC, Crawler) |
![]() |
![]() |
우선은 주행방식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일반 주행용 자동차처럼 바퀴가 달린 휠 방식과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장착된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휠 방식과 무한궤도 방식에 따라 특성의 차이가 있다.
1) 휠 방식
일반 자동자처럼 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 물론 고속으로 달릴 수는 없지만 혼자서 목적지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2) 무한궤도 방식
습지나 비포장 도로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휠 방식은 바퀴이기 때문에 지면과 닿는 면적이 작아 습지에서는 푹푹 빠지게 되어 움직일 수가 없다. 하지만 무한궤도 방식은 지면과 닿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그만큼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아 습지등에서도 기동성이 좋다.
하지만 도로에서는 운행이 불가하여 트럭이나 트레일러를 통해 이송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공사현장에 따라 휠 방식이 좋을지 무한궤도 방식이 좋을지 차이가 있다.
2. 체급에 따른 분류
일반 자동차도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뉘듯 굴착기도 버킷의 크기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버킷의 크기에 따라 나누는 이유는 버킷의 크기 = 굴착기가 시간당 할 수 있는 일의 양 이기 때문이다.
버킷이 클수록 같은 시간동안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1) 버킷용량 0.1㎥
2) 버킷용량 0.2㎥
3) 버킷용량 0.6㎥
4) 버킷용량 1.0㎥
버킷 용량이 커질수록 그에 따라 차체의 중량도 증가한다. 버킷에 담기는 물체가 무거울수록 차체의 무게도 무거워져야 차량이 전도되거나 하지 않는다. (균형이 맞춰져야 함)
그외
버킷용량 1.0㎥ 이상 굴착기도 있다. 정말 큰 대규모 공사현장 아니면 보기 쉽지 않다. 워낙 비용도 비싸고 해당 장비를 수배하기도 쉽지 않다.
참고로 요즘은 버킷에 집게처럼 달려있는 제품이 많이 나온다. 이를 클램프라고 부른다. 클램프가 달려있는 제품은 물건을 집어서 옮길때 매우 편리하다. (운전자의 피로도가 매우 감소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사전건강관리 2편 - 산전검사 및 의사 상담 (0) | 2025.05.24 |
---|---|
임신 사전건강관리 의료비 지원받기 1편 (신청방법) (4) | 2025.05.08 |
손목닥터 9988+ 포인트 적립제도 변경 (0) | 2025.03.14 |
강동구청 제1청사 주말에도 무인민원발급 가능 (직접 방문 후기) (0) | 2025.03.11 |
로또는 도박일까? 투자일까? (0) | 2025.03.06 |
댓글